안녕하세요. 주말세상입니다.
자동차 30년이상 타면서 배터리 걱정은 쉐보레 콜로라도가 유일한데요.
2020. 10. 27일 출고하여 4번이나 방전이 되어 어쩔 수 없이 2021. 12. 11일 배터리를 교체했는데도 불안합니다.
배터리는 방전과 충전을 반복하게 되는데요.
배터리가 완전 충전이 되려면 몇 Km를 주행해야 하는지, 아니면 몇시간을 주행해야 하는지 알 수가 없습니다.
그리고 주행을 했는데 과연 배터리는 완전 충전이 되었는지 배터리 용량은 얼마나 남았는지 알 수가 없습니다.
(다만 계기판에서 배터리 전압은 확인할 수 있습니다)
그렇다고 배터리 용량과 충전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그때마다 정비소나 배터리가게에 가기도 번거롭습니다.
그래서 배터리 용량과 충전 여부를 언제라도 확인할 수 있는 배터리 테스터기를 하나 구입하였는데요.
비싼 것은 아니고 쉽고 간편하게 쓸 수 있는 것으로 구매를 하였습니다.
ANCEL Battery Tester BA101 인데요.
사용해 보니까 정말 간편하고 알기 쉽게 만들어져 있습니다.
시험삼아 2021. 12. 11일 교체한 제 콜로라도 배터리(바르타 80Ah, 700CCA)를 확인해 봤는데요.
시동 끈 상태에서
배터리 용량(SOH)은 100%, 충전량(SOC)은 96%, 전압은 12.58Volts, 저온시동능력은 700CCA → 715CCA 이네요.
배터리 때문에 정비소나 배터리가게 가시기 번거로우신 분은 이런 간단한 테스터기 하나 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.
※ 저는 배터리 테스터기 제조사와 아무런 관련이 없고 순전히 내돈내산입니다.
추가 : 2021. 12. 31 이후 계속 업데이트 합니다.
2021. 12. 31일
불과 1일만에 충전량이 96% → 66%로 떨어지고 재충전이 필요하다는 메시지가 뜹니다.
아무리 고급 납산 배터리라도 추위에는 어쩔 수 없는 것 같습니다.
40Km 주행 후 충전량이 66% → 91%로 올라갑니다.
95%이상 배터리 완충을 하려면 40Km이상 주행을 해야 될 것 같습니다.
2022. 1. 1일
역시나 날씨가 영하권인 관계로 불과 1일만에 충전량이 91% → 61%로 떨어지고 재충전이 필요하다는 메시지가 뜹니다.
시동전 전압도 12.1Volts로 많이 떨어졌습니다.
40Km 주행 후 충전량이 61% → 91%로 올라갑니다.
2022. 1. 2일
2022. 1. 1일 40Km 주행후 91%였던 배터리 충전량이 불과 하루만에 26%로 떨어졌습니다.
아파트 지하주차장에 주차하고 블박전원 OFF 했는데도 충전량이 너무 떨어져서 배터리 교체한 업소에 문의한 바 블박
전원을 껐는데 충전량이 91%에서 26%로 떨어질 수는 절대 없다고 합니다.
누전이 의심스러우니까 점검을 받아 보라고 합니다.
일단 블박 전원코드를 아예 빼버리고 내일 다시 한번 더 배터리 전압 체크해 보고 그래도 충전량이 떨어지면 다른 조치
를 해 볼까 생각중입니다.
2022. 1. 2일 50Km 주행 후 충전량이 26% → 98%로 올라갑니다.
2022. 1. 3일
2022. 1. 2일 50Km 주행후 98%였던 배터리 충전량이 불과 24시간만에 또 41%로 떨어졌습니다.
아파트 지하주차장에 주차하고 블박 전원코드까지 빼버렸는데도 배터리 충전량이 떨어졌는데요.
도저히 안되겠어서 직영서비스센터에 가서 배터리 방전 원인이 무엇인지 점검을 해 달라고 했습니다.
점검결과 블랙박스가 배터리 방전의 원인이라고 합니다.
주차시 블랙박스를 주차모드 해제로 해 놓으라고 합니다.
2022. 1. 3일 184Km 주행 후 충전량이 41% → 98%로 올라갑니다.
블랙박스를 주차모드 해제로 해 놓고 전원도 아예 꺼놓고 주차해놨는데요.
내일 배터리 전압이 어떻게 되는지 지켜봐야 될 것 같습니다.
2022. 1. 4일
2022. 1. 3일 184Km 주행후 98%였던 배터리 충전량이 하루만에 71%로 떨어졌습니다.
2022. 1. 3일 쉐보레 직영서비스센터에서 배터리 점검결과 블랙박스 외에는 암전류가 없다고 했는데요.
2022. 1. 3일 배터리 전압을 98%까지 충전을 하고 블랙박스 전원 OFF & 주차모드 해제로 해 놨는데도 71%로 떨어지는
것으로 봐서는 추위에 따른 배터리 자연 방전으로 보입니다.
따라서 배터리 방전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주차시에는 블랙박스 주차모드를 해제하고 배터리가 95%이상 충전될 수 있
도록 충분히 주행을 하여야 할 것 같습니다.
그런데 조금 이상한 것은
쉐보레 콜로라도 동호회 카페에서 순정 배터리로 7일간 주차하고 상시 블랙박스 켜놓고도 한 방에 시동이 걸린다고 하
는 분들도 많이 계시던데 배터리도 복불복이 있는가 봅니다.
2022. 1. 5일
배터리 전압 마지막 테스트입니다.
2022. 1. 3일 184Km 주행후 98%였던 배터리 충전량이 하루만에 71%로 떨어졌습니다.
2022. 1. 4일은 주행을 하지 않고 블랙박스 주차모드 해제만 하고 아파트 지하주차장에 주차를 하였습니다.
2022. 1. 5일 주행전 배터리 충전량을 확인한 바 66%로 떨어졌습니다.
배터리 충전량이 60%대로 떨어지니까 배터리 재충전을 하라는 메시지가 뜹니다.
결론적으로 98%(2022. 1. 3일) → 71%(2022. 1. 4일) → 66%(2022. 1. 5일)로 떨어졌으므로 배터리 방전을 방지하기
위해서는 주차모드를 해제하여도 이틀후에는 방전된 배터리의 충전을 위해 운행(완충 50Km이상)을 하여야 할 것으로
생각됩니다.
2022. 1. 5일 50Km 주행하니까 배터리 충전량이 66% → 98%로 올라갑니다.
콜로라도 배터리 관리하기가 참 어렵습니다.
추가 : 2022. 1. 10일
쉐보레 직영서비스센터에서 배터리 점검할 때 암전류는 없고 블랙박스가 방전의 원인이라고 했는데요.
쉐보레 콜로라도 동호회 카페에서 순정 배터리로 7일간 주차하고 상시 블랙박스 켜놓고도 한 방에 시동이 걸린다고 하
는 분들도 많이 계시던데 아무리 생각해봐도 블랙박스 배선이 원인이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.
제 콜로라도는 출고시 딜러가 서비스해 준 블랙박스(아이나비 A300)와 하이패스 외에는 추가로 설치한 아무런 전기장치
가 없는 순정입니다.
그래서 조수석 오른쪽 하단에 있는 퓨즈박스를 열어 블랙박스와 하이패스 배선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을 해봤
는데요.
노란색 ACC선은 F17(BCM4-20A)에 연결, 빨간색 상시전원선+하이패스선은 F35(PRND~ 10A)에 연결을 해놨더군요.
카페 회원들이 올린 블랙박스 배선을 보면 이렇게 연결하신 분이 없더라구요.
일단 오늘 배선 퓨즈를 전부 빼버리고 내일 전압 테스트를 한 번 더 확인해 봐야 되겠습니다.
추가 : 배터리 방전(충전량 감소) 원인 바로가기 → https://blog.daum.net/weekendworld/828
'나의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콜로라도 전면 언더커버 교환 DIY (0) | 2022.01.04 |
---|---|
콜로라도 첫 엔진오일 교환 (0) | 2022.01.03 |
콜로라도 순정 적재함 고리 DIY (0) | 2021.12.16 |
자동차 보조배터리 VS 배터리 업그레이드 (0) | 2021.12.12 |
콜로라도 수리비 폭탄 (0) | 2021.12.08 |